각 국가가 독자적이고 자주적인 인공지능 기술과 모델을 보유해야 하는 이유

야아, 너희도 AI 기술 있어?

(1) 가장 먼저, AI 기술과 모델은 돈을 벌게 하는 수단이 됩니다.

  • AI는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과 성장을 이끌 수 있으므로, 한 국가의 경제적 성장을 위한 아주 중요한 수단이 됩니다.

(2) AI 기술과 모델은 디지털 주권(** 아래에 개념 설명 추가)의 핵심이 됩니다.

  • 앞으로 국가 간 경제적, 정치적 경쟁에서 AI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따라서, 독자적인 AI 기술과 모델을 보유해야 기술 주권을 확보하고 외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면서 자국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1,2]
  • AI 모델의 부족한 투명성과 안정성 [3] 으로 인해 자국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려면 독자적인 AI 모델과 기술을 보유해야 합니다. [4. 5] 예를 들어, 독자적인 AI 기술과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거나 유해한 정보를 필터링하는 프로세스를 포함시켜 AI 기술과 모델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6]
  • 독자적인 AI 기술과 모델을 보유하게 되면 자국의 과학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한을 받지 않게 되어, 자율적으로 과학적 발견과 혁신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7]

(3) 한 국가의 독특한 경제적, 법적, 사회적 구조를 고려하고 반영할 수 있습니다.

  • AI 모델과 시스템에 대해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의 기준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한 국가의 독특한 법적 요구사항과 규제 환경 및 거버넌스 구조를 반영하려면 독자적인 AI 기술과 모델을 보유해야 합니다. [8, 9]
  • AI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술적 노력과 윤리적, 규제적 고려사항들을 균형 있게 고려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AI 기술과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10. 11]

(4) 자국의 언어적, 지역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인공지능(AI) 기술과 모델, 특히 생성형 AI는 자국의 문화적, 사회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특화된 AI 모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국가나 지역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모델은 성능과 안정성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것은 AI 모델의 편향성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국가적, 지역적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AI 모델 개발이 중요합니다. [12]
  • AI 모델이 특정 국가나 지역의 언어적,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맥락에 맞게 설계되고 운영되면, 지역 사회의 필요와 가치를 반영하고, 불필요한 편향을 줄이며,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고 AI 기술의 혜택을 보다 널리 확산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13, 14, 15]
  • AI 모델이 특정 성별이나 인종, 장애인에 대해 편향된 결과를 내지 않도록 독자적인 모델을 개발하여 자국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공정한 AI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16]

(5) AI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려면 독자적인 기술과 모델이 필요합니다.

  • AI는 한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므로 지속적으로 직접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17, 18] 또한 자국의 환경과 사용자의 변화에 맞추어 AI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적응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19]

(**) 디지털 주권(Digital Sovereignty)의 개념과 요소

영토 내 정치, 경제, 사회적 질서를 스스로 결정하고 집행하는 권한을 의미했던 전통적인 주권과 달리, 디지털 주권(Digital Sovereignty)은 인터넷, 클라우드, IoT 같은 디지털 인프라 및 인프라 상에서 생성되고 흐르는 데이터를 자국(또는 조직)이 스스로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합니다.

디지털 주권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인프라와 관련된 기술들을 자주적으로 확보,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기술 주권(Technology Sovereignty), 이와 관련한 정책을 자국의 기준과 현황에 맞게 만들고 시행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하는 정책 주권(Policy Sovereignty), 그리고 데이터의 저장, 통제, 활용 방식을 정하는 권한을 의미하는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 그리고 네트워크, 서버, 클라우드 등을 직접 운영, 관리하는 권한을 의미하는 인프라 주권(Infrastructure Sovereignty)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디지털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역량 뿐만 아니라, 법, 제도, 정책적 기반과 정치적. 행정적 능력도 갖추어야 합니다.

디지털 주권을 갖추게 되면, 해외 정부나 기업의 과도한 개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정치, 경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국가적인 안보와 사회적 신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s


코멘트

“각 국가가 독자적이고 자주적인 인공지능 기술과 모델을 보유해야 하는 이유” 에 하나의 답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