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Walking Towards
-
(논문 간단 요약) Evidence of a social evaluation penalty for using AI
– 재미있는 논문을 소개합니다. Evidence of a social evaluation penalty for using AI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426766122) !!!!!!) 제가 볼 때 이 논문에서 언급한 결과는 AI 사용이 점점 더 보편적이 된 이후에는 크게 달라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논문 핵심 요약 (1) 사용자가 예상하는 AI 사용에 대한 인식 >> AI 도구를 사용하는 시나리오에 참여한 사람들은 비(非) AI […]
-
AIFrenz 참여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1)
– 연구 #1: Global burden of insomnia medication-associated suicidality, 1967-2024: A disproportionality analysis of the global pharmacovigilance database 등록 저자: Eun Kyoung Chung (Kyung Hee University)공동 저자: Tae Hyeon Kim and Kyeongmin Lee and Suhyun Lee and Jiyoung Hwang and Hanseul Cho and Guillaume Fond and Laurent Boyer and Eun Kyoung Chung and Dong Keon […]
-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3)
– 연구 #1: Self-Cascaded Diffusion Models for Arbitrary-Scale Image Super-Resolution 등록 저자: Se Young Chun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공동 저자: Junseo Bang and Joonhee Lee and Kyeonghyun Lee and Haechang Lee and Dong Un Kang and Se Young Chun 제1저자 Spotlight: Junseo Bang 이 연구에서는 저희가 개발한 모델이 낮은 해상도의 […]
-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2)
– Suh-Yeon Do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itle: Network-based alterations in task-induced functional connectivity in bipolar disorder: A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yAuthors: Seongyeon Lim, Suh-Yeon Dong, Bach Xuan Tran, Laurent …, Nguyen Cao Duy, Carl Latkin, Huyen Do, Roger Ho이 연구는 fNIRS(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 장비를 이용해 양극성 장애 환자들이 특정 과제를 수행할 때 뇌의 신경망 연결성이 […]
-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1)
– Sangsu LEE (KAIST) Title: How to Better Translate Participant Quotes Using LLMs: Exploring Practices and Challenges of Non-Native English ResearchersAuthors: Huisung Kwon, Soyeong Min, Sangsu Lee연구 현장에서 인터뷰나 설문 참여자가 남긴 말을 영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말투·뉘앙스를 살리기 어려워 비원어민 연구자들이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 논문은 대형 언어 모델(LLM)을 번역에 활용할 때 주로 발생하는 불일치나 정보 […]
-
AIFrenz 참여자들은 어떤 연구를 하고 있을까?
– AIFrenz? AIFrenz(https://aifrenz.org/)는 대덕연구단지 내에서 AI기술을 공유하고 함께 성장할 목적으로 활동하는 사단법인입니다. 초기에는 소규모 커뮤니티 및 세미나 위주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비영리 사단법인 학회로 성장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AIFrenz는 사람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 따뜻한 AI를 추구하며,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유튜브, 페이스북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회원들과 소통하면서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AIFrenz에는 […]
-
내가 관심있어 하는 주제를 실제로 연구하는 국내 연구자가 있을까?
– 국내의 진짜 연구자 찾기? 특정 연구분야에서 실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국내의 연구자들을 찾아야 할 때가 자주 있습니다. – 실제로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연구자를 찾는 일은 왜 어려울까? 이런 다양한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부 연구 주제를 실제로 연구하는 국내 연구자들을 찾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방송, 세미나, 언론 기사 등을 통해 비교적 잘 알려진 전문가들도 […]
-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Autism 관련 주제에 대해 어떤 연구를 했을까?
– 국내 연구 추세 국내 HCI 분야에서 Autism 관련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의 수도 꽤 많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발표된 논문의 수도 2021년부터 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국내 연구자들은 어떤 연구를 해왔을까요? – 연구주제와 대표적인 연구자들 이 주제와 관련한 국내 연구자들의 대표적인 연구들을 4가지 그룹 – (1) 정신건강 상태 인식 및 지원 기술, (2) 자폐 […]
-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정신적 질환이나 문제를 겪는 사람들을 위해 인공지능이나 언어모델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 세계적인 추세 – 인공지능과 언어모델은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문제를 겪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Arxiv 의 인공지능 관련 분야에 제출된 논문들 중에서 이러한 주제를 언급한 논문들이 차지하는 비중을 2020년부터 최근까지의 기간 동안 3개월 단위로 측정해 본 결과입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중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0년대에 들어서서, […]
-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Smart Home 관련 주제에 대해 어떤 연구를 했을까?
인간 중심의 생활 지원 시스템 최근 5년 동안 국내 HCI 연구자들이 수행한 Smart Home 관련 연구들은 “인간 중심의 생활 지원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센서 네트워크 최적화, 음성 인터페이스, 웨어러블 기반 행동 인식, 그리고 가족 중심의 정서 공유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융합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자, 원격근무자, 학습자 등 다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