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HCI 연구자들이 협력하면 어떤 것을 잘 만들까?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
Human-Computer Interaction 분야의 국내 연구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국내에서 HCI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약 200여명의 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은 2025년 8월에서 2025년 9월 15일 사이에 새롭게 수집된 내용들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가상의 연구 제안서를 작성해 보자.
각 연구 내용들이 모두 응용 서비스로 개발되거나 활용된다는 가정 하에, 이 내용들을 모두 적절히 통합하면 어떤 응용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 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가상의 통합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세부 연구팀을 각 연구자들을 바탕으로 구성해 보고, 각 팀에서 수행할 세부 연구 내용도 만들어 보겠습니다.
–
최신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제안할 만한 주제
본 제안서는 가상의 통합 응용 서비스인 ‘AI 기반 도시 환경 개선 및 개인 맞춤형 디지털 복지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이 시스템은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통합 서비스 시나리오
이 글에서 제안할 시스템은 초고해상 위성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시의 빈곤 지역, 재난 취약 지역을 정밀하게 파악합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공공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도시 재생 및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율주행차가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멀미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시 방문자들의 보행 경험을 개선하기 위하여 경로를 분석하는 기능도 포함합니다.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관점에서는 VR 기술을 활용하여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S)이나 이명과 같은 질환을 겪는 사용자를 위해 VR 기반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모션 캡처 기술을 이용한 아바타 상호작용을 구현하여 현실감 있는 원격 협업 및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얼굴 표정과 감정 반응을 분석하여 스마트 기기가 개인의 감정 상태에 맞춰 반응하도록 하며, AI 기반 텍스트-이미지 생성 기술을 활용하여 부적절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걸러내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합니다. 마지막으로, AI 클론이 사용자를 대신해 소셜 미디어 활동을 관리해 주는 기능도 포함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
서비스 개발을 위해 구성해 본 가상의 세부 연구팀 및 과제
본 통합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3개의 가상의 세부 연구팀을 구성하고 각 팀에 연구 과제를 할당합니다.
–

–
팀 1: AI 도시 분석 및 자율주행 기술 개발팀
–
첫번째 연구팀은 도시 환경 분석 및 모빌리티 기술에 초점을 맞춰, AI 기반의 도시 데이터 분석과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을 연구합니다.
–

–
연구 과제 1-1: (Sungwon Park@KAIST) 초고해상 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도시 빈곤 및 공간 불평등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내용: 초고해상 위성 이미지와 AI 모델을 활용하여 도시의 빈곤 및 취약 지역을 정밀하게 파악하는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이 시스템은 접근성, 형태학, 경제적 특성 등 세 가지 지표를 통합하여 기존의 불빛 데이터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한계를 극복하고, 재난 대비 및 도시 계획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Learning Multidimensional Urban Poverty Representation with Satellite Imagery (https://www.arxiv.org/abs/2509.04958)”
- Sungwon Park는 악의적인 데이터 변조를 방지하는 연합학습 기술 및 이미지 분류 알고리즘를 연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고 위성 이미지의 패턴을 효과적으로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합니다.
연구 과제 1-2: (Yein Song@Seoul National University, Hojun Aan@Hanyang University) 멀미 최소화 및 인간 중심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내용: 자율주행차에 탑승한 승객의 멀미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차량 동작과 승객의 생체 반응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좌석, 조명, 환기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안전한 주행을 돕는 기능도 포함합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Exploring the Latest Trends in Motion Sickness Research: A Network Analysis Approach (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981-96-4383-7_28)” 및 “Multi-modal virtual reality system for tinnitus treatment methods and validation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330843)”
- Yein Song는 자동차 내 청각 경험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AUI)를 설계하여 운전자의 정신적 부담을 줄이고 반응 속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Hojun Aan은 VR 쇼다운 게임 개발 경험을 활용하여, 시각 장애인도 함께 즐길 수 있는 포용적이고 안전한 사용자 경험을 자율주행 시스템에 접목합니다.
연구 과제 1-3: (Gi-bbeum Lee@KAIST) 도시 환경 상호작용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내용: 자율주행차나 로봇이 복잡한 도시 환경에서 사람, 건물, 다른 차량을 정밀하게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생태광학 및 그래프 이론을 기반으로 한 내비게이션 프레임워크를 개발합니다. 이는 도시 보행자 경험 개선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Graph approach for Gibson’s ecological optics with dynamics of network motifs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47403462500758X)”
- Gi-bbeum Lee는 자율주행차의 도덕적 딜레마 및 도시 보행 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의 물리적 환경과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자율주행 시스템의 의사결정 과정을 설계하고, 보행자의 안전과 쾌적성을 고려한 경로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
팀 2: AI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팀
–
두번째 팀은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콘텐츠 생성 및 편집, 그리고 사용자 경험(UX)을 극대화하는 AI 기반 서비스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

–
연구 과제 2-1: (Jiyeon Oh@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angmin Lee@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생성 및 관리 시스템 개발
내용: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최소한의 데이터로 자연스럽게 편집하고, 부적절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억제하는 AI 기반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이미지 필터링 및 안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합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Mitigating inappropriate concepts in text-to-image generation with attention-guided Image editing (https://peerj.com/articles/cs-3170/)” 및 “Facial Attribute Editing with Diffusion Models using Data-Efficient SVMs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11149981)”
- Jiyeon Oh는 비언어적 신호 및 무음 음성 입력 기술에 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콘텐츠 생성 및 필터링 과정에 반영하는 응용을 개발합니다. Seangmin Lee는 이미지 속 인물의 여러 특성을 동시에 편집하는 기술 및 얼굴 이미지에 의해 포함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을 연구한 경험을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편집 기능과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을 시스템에 통합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연구 과제 2-2: (Jackie Liu with Hwajung Hong @ KAIST, Seongbeen Son@Kookmin University) AI 기반 상호작용 및 소셜 활동 지원 기술 개발
내용: AI 클론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 활동을 위임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해 적절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는 동시에, 진정성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합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Social Media Clones: Exploring the Impact of Social Delegation with AI Clones through a Design Workbook Study (https://arxiv.org/abs/2509.07502)” 및 “Visual Triggers for Conversion: Understanding Sensation-seeking Tendency and Badge Effects in Online Consumer Behavior (https://cxlab.co.kr/bbs/board.php?bo_table=research_chievement2&wr_id=9&sop=and)”
- Jackie Liu는 AI 클론이 사용자의 온라인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 연구를 기반으로, AI 클론의 투명성과 사용자 개입을 강화하는 설계 가이드라인을 수립합니다.
- Seongbeen Son은 스마트워크 연구 경험을 활용하여, AI 클론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심리적 만족도와 업무 효율성 증진 방안을 분석하고, 이를 서비스 설계에 반영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연구 과제 2-3: (Wonchul Shin@Seoul National University) AI 기반 음악 및 음향 콘텐츠 생성 기술 개발
내용: 외부 악기 소리를 분석하여 Synthesizer 소리로 재현하는 AI 기술을 개발합니다. 이를 통해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음악을 창작하고 편집할 수 있게 하며, 영화 및 게임 사운드 디자인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SynthRL: Cross-domain Synthesizer Sound Matching via Reinforcement Learning (https://www.ijcai.org/proceedings/2025/1129)”
- Wonchul Shin은 강화 학습을 이용한 음향 유사도 매칭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를 Synthesizer로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팀 3: AI-VR 복지 및 교육 시스템 개발팀
–
세번째 팀은 VR 기술을 활용한 정신 건강 관리 및 교육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

–
연구 과제 3-1: (Ruyun Dai@Hanyang Univeristy), Hojun Aan@Hanyang Univeristy) VR 기반 정신 건강 관리 및 치료 보조 시스템 개발
내용: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S) 및 이명 등과 같은 다양한 신경정신과 질환을 위한 VR 기반 안정화 및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이 시스템은 원격 진료와 연계하여 환자가 물리적 거리 제약 없이 치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based guided imagery stabilization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055-025-01225-x)” 및 “Multi-modal virtual reality system for tinnitus treatment methods and validation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330843)”
- Ruyun Dai는 VR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한 장소’를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PTSS 환자가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VR 환경을 설계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 Hojun Aan은 VR을 활용한 이명 치료 연구 경험을 토대로, 시각 장애인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모든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VR 치료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연구 과제 3-2: (Hyunseung Lim@KAIST) AI 기반 디자인 교육 및 협업 플랫폼 개발
내용: 학생들의 디자인 피드백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AI 기반 역할극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이 시스템은 학생들이 AI 멘티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Feed-O-Meter: Fostering Design Feedback Skills through Role-playing Interactions with AI Mentee (https://arxiv.org/abs/2509.07424)”
- Hyunseung Lim은 대화형 AI를 활용한 질문 능력 향상 연구 및 AI 생성 텍스트의 편향성을 인식하는 도구를 개발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AI 멘티가 학생들에게 더 명확하고 편향 없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연구 과제 3-3: (Yunsik Cho@Hansung University, Myeongseok Park@Hansung University) 가상현실 기반 실내 디자인 및 경험 시뮬레이터 개발
내용: 몰입형 VR 환경에서 현실감 있는 실내 장면을 구성하고,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객체 배치에 대한 최적의 레이아웃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집이나 사무실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체험할 수 있습니다.
- 근거 논문 및 연구자 역할:
- 논문: “Improved object arrangement and layout design considering interaction for indoor scene synthesis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042-024-20473-8)” 및 “Designing and Analyzing Virtual Avatar Based on Rigid-Body Tracking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10824787)”
- Yunsik Cho는 몰입형 VR 환경에서의 객체 배치 연구를 수행했던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실내 레이아웃 추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 Myeongseok Park은 VR 아바타 모션 구현 연구 및 대화형 가상 에이전트 개발 연구 경험을 활용하여, 가상 공간 내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아바타 시스템을 구축하고,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환경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최신 연구결과를 볼 때,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세부 연구 과제들이 개발되고 긴밀히 연결되면,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개인 뿐만 아니라 도시 인프라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수준에 걸쳐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통합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zbqcib
lh4ty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