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reenshot
(가상의 제안서) 지능형 통합 안전 및 건강 관리 에코시스템 (National Intelligent Safety & Health Ecosystem, NISHE)
본 제안서는 국내의 AI 연구자들이 발표한 최신 연구결과들을 기반으로, (2025년 9월1일에서 2025년 9월15일 사이에 수집) 국가적 차원에서 안전성, 효율성, 그리고 개인 맞춤형 효과를 극대화하는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자들의 각 연구 성과가 실제 서비스로 연결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관련 기술을 융합하여 미래 지향적인 핵심 응용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개발팀을 구성해 봅니다.
–
통합 서비스 시나리오
본 통합 서비스는 개인의 일상생활부터 도시 인프라, 제조 현장에 이르기까지 AI 기술을 전방위적으로 적용하여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상태에서 안전을 극대화하고, 건강을 예측·관리하는 상시 지능형 서비스’를 목표로 합니다.
- 실시간 개인 건강 모니터링 및 예측 진단: 개인이 스마트폰에 탑재된 모듈형 시스템을 이용해 비침습적으로 피부, 귀, 치아 등의 건강 상태를 상시 점검합니다. 정기적으로 찍은 안저 이미지 한 장만으로 심혈관 대사 위험 요소(당뇨, 고혈압, 비만 등)를 동시에 예측하여 조기에 진단 정보를 제공합니다. 나아가 초음파 기술을 활용하여 혈관 내 세포의 흐름을 비침습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통합하여 암세포나 염증세포의 활동 징후를 실시간으로 탐지합니다. 수집된 의료 영상 데이터(CT, MRI)는 고화질의 3차원 볼륨 데이터로 재구성되어, 폐 결절 및 뇌 건강 상태를 정밀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 지능형 의료 및 라이프스타일 지원: AI 언어 모델 기반의 처방 지원 시스템이 환자 진단에 따른 최적의 약물 리스트를 의료진에게 추천하고, 치료가 어려운 질병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예측하여 선제적인 예방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환자의 의료 정보는 안전하게 보호되며, AI 모델은 유해한 프롬프트 공격에 대한 방어체계를 갖춥니다.
- 협업 로봇 기반 정밀 작업 및 이동성 확보: 도시 교통 시스템에서는 RSU(도로변 통신 장치)와 차량 간의 다양한 V2X 메시지를 융합하여 신뢰성 높은 통합 상황 인식 데이터를 100ms마다 생성하고, 대형 언어 모델(LLM) 기반의 시공간 예측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급변하는 교통 상황을 정확하게 예측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자연어 요청을 기반으로 최적의 다목적 경로를 계획하는 시스템을 통합하여, 물류 및 개인 이동의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제조 및 의료 현장에서는 복수의 로봇 팔들이 충돌 없이 효율적인 경로를 계산하며 정밀 작업을 수행합니다. 특히 치과 등 정밀 수술 분야에서는 7자유도 로봇이 충치 제거 등 복합 수술을 정밀하게 수행하고, 제조 현장의 회전 기계는 진동 데이터를 통해 순간 각속도를 정확히 추정하여 고장을 예측합니다.
- AI 콘텐츠 및 인프라 품질 관리: 생성 결과물을 기능별 조각으로 분해해 분석하여 LLM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AI의 응답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합니다. 또한, 텍스트 입력만으로 조작 가능한 고품질 3D 가상 장면을 생성하는 기술을 활용해, AR/VR 기반의 교육 시뮬레이션 및 원격 평가 환경을 구축합니다. 이와 함께 텍스트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할 때 시각 언어 모델(VLM)을 이용해 프롬프트를 반복적으로 개선하여 안전하고 적절한 이미지 생성 결과를 보장합니다.
–
NISHE 개발을 위한 가상의 세부 연구팀 구성 및 연구 과제 제안
–

–
연구팀 1 : 미래형 정밀 의료 및 원격 진단 시스템 개발팀

–
과제 I-1: 비침습적 멀티모달 진단 AI 통합 모듈 개발
스마트폰 기반의 모듈형 광학 시스템을 활용하여 피부, 귀, 치아 등 다양한 부위의 질환에 대한 진단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안저 이미지 기반으로 심혈관 대사 위험 요인 6가지 이상을 동시에 예측하는 기법을 통합하여 비침습적 건강 위험도 평가 모듈을 구축합니다.
팀원 구성
- Seonghyeon Ko@Sungkyunkwan University
- Sewoong Kim@DGIST
근거 연구
- Self-Propagative Multi-Task Learning for Predicting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032-05182-0_55)
- Seonghyeon Ko (Sungkyunkwan University)은 갈비뼈 골절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을 연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단일 의료 영상(안저 이미지)에서 복수의 질병 요소를 효율적으로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SePL)의 설계 및 구현을 담당하고, 특히 데이터 증강 기법을 최적화하여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확보합니다. 특히, 상호 연관된 위험 요소를 효율적으로 예측하는 다중 작업 학습 기법을 구현합니다.
- Intelligent mobile multimodal optical imaging and analysis framework using smartphone and deep feature fusion (https://www.spiedigitallibrary.org/conference-proceedings-of-spie/PC13595/PC135950A/Intelligent-mobile-multimodal-optical-imaging-and-analysis-framework-using-smartphone/10.1117/12.3070234.short)
- Sewoong Kim(DGIST)은 스마트폰에 모듈식 광학 시스템을 결합하여 피부와 귀 질환을 진단하는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합니다. 중이염과 치아 우식증 진단에 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광학 이미징 기술을 통합하여 진단 정확도를 높입니다.
–
과제 I-2: 고정밀 3D 영상 재구성 및 AI 판독 지원 시스템 구축
제한된 2D 의료 영상(CT/MRI)으로부터 고품질의 3D 구조를 복원하는 Sparse3Diff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폐 결절을 픽셀 단위로 정확하게 분할하는 MESAHA-Net 모델을 통합하여 자동 판독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팀원 구성
- Hyun Jung Lee@Korea University
근거 연구
- Sparse3Diff: A Diffusion Framework for 3D Reconstruction from Sparse 2D Slices in Volumetric Optical Imaging (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032-04965-0_48)
- Hyun Jung Lee (Korea University)는 3D 재구성 및 신경 신호 추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희소한 2D 슬라이스 데이터에서 구조적 일관성을 유지하며 3D 볼륨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원하는 확산 모델(Sparse3Diff)의 최적화 및 평가를 주도합니다.
–
과제 I-3: 개인화된 건강 예측 및 관리 솔루션 개발
구조적 MRI와 확산 MRI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뇌 나이를 예측하고, 정신분열증 증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멀티모달 앙상블 모델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뇌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특정 질병군과 관련된 고비용 환자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합니다.
팀원 구성
- Junhyeok Lee@Kyung Hee University
- Inwoo Tae@UNIST
근거 연구
- A multimodal ensemble stacking model improves brain age prediction and reveals associations with schizophrenia symptoms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2443690/)
- Machine learning for disease-specific prediction of high-cost patients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52197625022080)
- Inwoo Tae (UNIST)는 한국의 건강보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질병군과 관련된 고비용 환자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합니다. 과거 포트폴리오 최적화 연구 경험을 활용하여, 의료비 예측 모델에 대한 의사결정 중심 학습(Decision-Focused Learning) 기법을 적용해 예측의 정확성을 높입니다.
–
연구팀 2 : 스마트 모빌리티 및 로봇 지능화 팀

–
과제 II-1: RSU 중심의 신뢰성 기반 V2X 메시지 통합 및 상황 예측
팀원 구성
- Sawera Aslam with KyungHi Chang@Inha University
- Hyotaek Jeon@POSTECH
다양한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V2X 메시지를 RSU가 100ms 단위로 통합하고 융합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합니다. 이와 함께 LLM 기반의 시공간 교통 예측 모델(ST-LINK)을 연계하여 교차로와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 실시간 교통 흐름 예측의 정확도를 높입니다.
근거 연구:
- RSU-Assisted V2X Message Fusion via PC5 and Uu with Actor–Critic Modeling for Autonomous Driving under Intersection Scenario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214209625000993)
- Sawera Aslam with KyungHi Chang (Inha University)은 V2X 통신 자원 관리 및 RSU 중심 메시지 융합 프레임워크를 연구한 경험을 바탕으로, 복잡한 교차로 환경에서 다양한 센서 데이터와 통신 채널을 통합하는 데이터 융합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통합 상황 인식 메시지 생성의 정확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ST-LINK: Spatially-Aware Large Language Models for Spatio-Temporal Forecasting (https://arxiv.org/abs/2509.13753)
- Hyotaek Jeon (POSTECH)은 금융 가격 예측 및 교통 예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대형 언어 모델(LLM)이 시공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공간 상관관계를 반영하는 SE-Attention과 장기 예측 안정성을 위한 핵심 구성 요소를 개발합니다.
–
과제 II-2: 다중 객체 기반 동적 경로 계획 및 제어 시스템 개발
다수의 로봇들이 충돌 없이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경로를 계획하기 위해, 인공 포텐셜 필드를 활용한 경사 하강법 기반의 반발 궤적 수정 알고리즘을 실제 로봇 환경에 적용합니다. 또한, 자율주행 로봇의 실내 네비게이션을 위해 다양한 오피스 환경을 생성하는 강화학습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도입합니다.
팀원 구성
- Junhwa Hong@Sogang University
근거 연구:
- Repulsive Trajectory Modif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for Efficient Multi-Manipulator Motion Planning (https://arxiv.org/abs/2509.13882)
- Junhwa Hong (Sogang University)은 로봇 간 충돌 회피 기술 연구를 수행한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인공 포텐셜 필드(APF)를 CBS(충돌 기반 탐색)와 결합하여 계산 효율을 높이는 궤적 수정 전략의 실제 로봇 적용 과정 및 성능 평가를 수행합니다.
–
과제 II-3: 정밀 수술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작업 자동화 모듈 개발
7 자유도의 병렬-직렬 하이브리드 로봇을 활용하여 충치 제거, 레진 주입 등의 복합 치과 수술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고, 정밀 수술 및 작업 환경에 특화된 로봇 기구학의 안정성을 검증합니다.
팀원 구성
- Yuancheng Shi with Byung-Ju Yi@Hanyang University
근거 연구:
- Development of a Novel 7-DOF Parallel-Serial Hybrid Robotic System for Precise Removal of Dental Caries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11163418/)
- Yuancheng Shi with Byung-Ju Yi(Hanyang University)는 하이브리드 로봇 설계 및 기구학 분석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치과 수술 환경에 최적화된 7 자유도 로봇 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 개발 및 정밀도 검증을 담당합니다.
–
과제 II-4 :스마트 안전 모니터링 및 긴급 대응 시스템 개발
이 팀은 실내외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융합하여 치명적 사건이나 이상 행동을 감지하는 AI 모델을 구축합니다. 특히 데이터가 희소한 치명적 상황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합성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의 간극을 줄이는 기술을 활용하고, 여러 에이전트가 협력하여 복잡한 상황에 대응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합니다.
팀원 구성
- Seongho Kim@Hanyang University
근거 연구:
- GTA-Crime: A Synthetic Dataset and Generation Framework for Fatal Violence Detection with Adversarial Snippet-Level Domain Adaptation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11084327/)
- Seongho Kim (Hanyang University)은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치명적 사건에 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GTA-Crime 데이터셋과 생성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합성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의 차이를 줄이는 도메인 적응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상황에서의 탐지 정확도를 높입니다.
–
연구팀 3 : 코어 AI 플랫폼 성능 최적화 및 보안 팀

–
과제 III-1: LLM 경량화 및 엣지 컴퓨팅 가속 하드웨어 개발
모바일/IoT 환경에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고성능으로 운용하기 위해, 각 계층의 양자화 비트 수를 최적화하는 AMQ 프레임워크와 혼합 정밀도 및 그룹 양자화 기법을 사용하는 EdgeDiff 가속기 아키텍처를 통합 개발합니다.
팀원 구성
- Sangjun Lee@POSTECH
- Donghyeon Han@Chung-ang University
근거 연구:
- AMQ: Enabling AutoML for Mixed-precision Weight-Only Quantization of Large Language Models (https://arxiv.org/abs/2509.12019)
- Sangjun Lee (POSTECH)은 LLM에 대한 효율적인 경량화 및 양자화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메모리 제약 환경에서 LLM의 최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혼합 정밀도 양자화 설정을 자동화하는 AMQ 프레임워크의 핵심 전략(탐색 공간 가지치기, 품질 예측기 등) 개발을 담당합니다.
- MEGA.mini: A NPU with Novel Heterogeneous AI Processing Architecture Balancing Efficiency, Performance, and Intelligence for the Era of Generative AI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11154416/)
- Donghyeon Han (Chung-ang University)은 저전력 고효율 NPU 아키텍처를 설계하여 스마트 기기에서도 복잡한 AI 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과거 생성형 AI 및 에너지 효율적인 프로세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연산 효율과 성능을 동시에 고려한 하드웨어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
과제 III-2: 프라이버시 보호 연합 학습 및 AI 보안 강화
민감 데이터를 다루는 분야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LLM의 성능을 유지하는 공개 데이터 기반 차등 프라이버시 인컨텍스트 학습(ICL) 기법을 플랫폼에 적용합니다. 또한, AI 모델의 구조적 취약점을 악용하는 HaPLa 공격 기법을 모의 시험하여, 이를 방어하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을 강화합니다.
팀원 구성
- Seongho Joo@Seoul National University
근거 연구:
- Public Data Assisted Differentially Private In-Context Learning (https://arxiv.org/abs/2509.10932)
- Seongho Joo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LLM의 보안 취약점 분석 및 프라이버시 보호 학습과정에 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통합 플랫폼 내에서 민감한 사용자 데이터(특히 의료 및 금융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하며 LLM의 ICL 성능을 유지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합니다.
–
과제 III-3: 퀀텀 머신러닝 효율화 및 복소수 신경망 가속화
제한된 양자 자원에서 고성능 학습 모델을 구현할 수 있도록 QICD(Quantum Infidelity Codistillation) 기술을 활용한 양자 기계 학습 모듈을 개발합니다. 동시에 통신 및 신호 처리에 중요한 복소수 신경망 연산을 효율화하는 CVMAX 가속 구조를 설계하여, 시스템 전반의 신호 처리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팀원 구성
- Seungeun Oh@Yonsei University
근거 연구:
- Quantum infidelity codistillation for fast and accurate distributed quantum machine learning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227-025-07614-y)
- Seungeun Oh (Yonsei University)은 양자 합성곱 신경망 및 무선 통신 자원 스케줄링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QICD를 활용한 분산 양자 학습 시스템의 구현과 협력 학습 전략을 검증하여, 양자 컴퓨팅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제시합니다.
–
연구팀 4 : 산업 지능화 및 생성 콘텐츠 품질 관리 팀

–
과제 IV-1: 생성 AI 모델의 성능 평가 및 정렬 자동화 시스템 개발
LLM 출력물을 기능별 조각(fragment)으로 분해하여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는 Evalet 시스템을 통합 플랫폼의 핵심 평가 도구로 채택합니다. 또한, 주제 커버리지를 고려하여 ICL 데모를 선택하는 TopicK 기법을 적용해 AI 모델의 응답 품질과 포괄적인 정보 전달 능력을 최적화합니다.
팀원 구성
- Tae Soo Kim@KAIST
근거 연구:
- Evalet: Evaluating Large Language Models by Fragmenting Outputs into Functions (https://arxiv.org/abs/2509.11206)
- Tae Soo Kim (KAIST)은 LLM 평가 개선 및 인터랙티브 글쓰기 지원 인터페이스를 연구한 경험을 기반으로, LLM의 출력물을 기능별 조각으로 분해해 분석하는 ‘기능적 분해’ 방법론을 정립하고, 평가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Evalet 시각화 도구의 설계 및 사용자 연구를 주도합니다.
–
과제 IV-2: 제조 품질 관리 및 가상 환경 생성 기술 적용
디스플레이 패널 등 제조 분야에서 정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함을 생성하고 탐지하는 AnoSeg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품질 검사를 자동화합니다. 또한, 3D 가상 장면을 모델을 활용하여 AR/VR 기반의 원격 지원 및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합니다.
팀원 구성
- Jou‐Won Song@Sogang University
근거 연구:
- Self‐Supervised Anomaly Segmentation for Surface Defect Inspection in Display Panels (https://sid.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jsid.2106)
- Jou‐Won Song (Sogang University)은 기계 건강 예측 및 이상 탐지 네트워크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결함 데이터가 부족한 제조 환경에서 정상 이미지 기반으로 결함 패턴을 인위적으로 생성(하드 어그멘테이션)하고, 이를 통해 픽셀 단위의 결함 분할 정밀도를 높이는 AnoSeg 프레임워크 설계 및 산업 현장 적용 방안을 제시합니다.
–
과제 IV-3: 안전성 기반 텍스트-이미지 생성 및 데이터 효율화
시각 언어 모델(VLM)을 이용한 반복적 프롬프트 개선 알고리즘을 텍스트를 이미지로 생성하는 과정에 도입하여 부적절한 이미지 생성을 사전에 차단합니다. 또한, 대규모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품질 이미지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증류(Distillation) 기반 초해상도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 효율성을 높입니다.
팀원 구성
- Jinwoo Jeon@Korea University
근거 연구:
- Iterative Prompt Refinement for Safer Text-to-Image Generation (https://arxiv.org/abs/2509.13760)
- Jinwoo Jeon (Korea University)는 텍스트-이미지 생성 모델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던 경험을 기반으로, 생성된 이미지를 시각 언어 모델(VLM)로 분석하여 프롬프트의 안전성을 반복적으로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사용자 의도를 유지하며 유해 콘텐츠 생성을 방지하는 안전 메커니즘을 구축합니다.
–
최신 연구결과를 볼 때, 한국의 AI 연구자들은…
한국 연구자들이 쌓아가고 있는 AI 연구 역량은 이제 실질적인 솔루션을 생산하는 프로젝트로 진화해야 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네 가지 연구팀은 각기 다른 세부 분야에 속하지만, 서로의 기술을 통합하며 시너지를 만들어낸다면 AI 분야에서 한국은 ‘빠른 추격자’를 넘어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선도자’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입니다.